반응형

라이프 61

머신러닝 딥러닝 차이와 인공지능(AI,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기술 이해하기 #1

오늘은 머신러닝 딥러닝 차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머신러닝이니 딥러닝이니 많이 들리기는 하는데, 뭐가 머신러닝이고 뭐가 딥러닝인지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들 각각의 의미와 차이점에 대해 설펴보겠습니다. 머신러닝 딥러닝 차이와 인공지능 머신러닝이란 무엇인가?머신러닝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데이터를 보고 스스로 학습하는 기술입니다.과거의 컴퓨터는 사람이 직접 규칙을 만들어야만 움직였습니다.예를 들어, 이메일이 스팸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려면"광고", "무료", "당첨" 같은 단어가 있으면 스팸으로 간주하는 규칙을 일일이 코드로 작성해야 했죠.하지만 스팸 이메일은 끊임없이 변형되고, 모든 규칙을 만들어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머신..

라이프 2025.04.29

윤달 vs 윤년, 뭐가 다를까? 음력과 양력의 시간 보정 원리 #2

윤달, 윤년에서, 한자로 윤(閏)은 '끼어들다', '덧붙이다'라는 뜻이에요. 한자어라서 의미를 모른 채 단어만 윤달, 윤년 하면 얼른 이해하기 어렵죠. 의미를 알고 다시 생각해 보면 이해하기 쉽죠. 오늘은 이런 의미로 윤달은 왜 덧붙이는 거고, 윤년은 뭐를 덧붙이는 건지 살펴보도록 할게요. 윤달 vs 윤년, 무엇이 다를까?윤달과 윤년. 이름은 비슷하지만, 이 둘은 기준이 되는 천체도 다르고, 조정 방식도 전혀 다릅니다.이들은 또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요? 음력과 양력의 차이를 바탕으로 윤달과 윤년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해 봅시다. 왜 윤달과 윤년이 필요할까?우리가 사용하는 달력은 단순한 날짜 나열이 아닙니다. 하늘의 움직임 즉, 자연의 시간 흐름을 사람의 삶에 맞춰 정리한 체계죠. 그런데 문제..

라이프 2025.04.24

음력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달의 공전과 윤달로 보는 음력의 원리 #1

오늘은 달의 공전과 음력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달의 움직임과 음력의 구조적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과학적 원리를 설명하고, 음력이 과거 농경 사회와 오늘날의 명절, 제사에 어떻게 쓰였는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달의 공전과 윤달로 보는 음력의 원리 달의 시간, 인간의 삶달력을 펼치면 양력 날짜 아래 조그맣게 함께 적혀 있는 숫자가 있죠. 뭐 지금은 그 달력도 잘 안 보게 됩니다만, 스마트폰을 보니까요. 하여간, 달력의 그런 숫자가 바로 '음력'이었어요. 현대의 우리는 태양력 중심의 날짜를 고려하니까 음력 하면 한참 생각하거나 음력 전용 달력 앱을 스마트폰에서 찾곤 해요. 음력,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 달력이죠.예전엔 달을 보며 씨를 뿌리고, 추석처럼 가족이 모이는 날도 달을 기준..

라이프 2025.04.21

명리학은 누구를 위한 것이었나? - 사주팔자, 그리고 샤머니즘 #1

오늘은 명리학과 무속 점, 무당, 귀신 등 샤머니즘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보려 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임을 먼저 분명히 밝힙니다. 명리학은 누구를 위한 것이었나?  사주팔자에 대한 짧은 생각.명리. 한자로 "목숨 명(命)", "이치 리(理)"를 사용합니다. "운명의 이치" 또는 "삶의 법칙" 정도로 직역할 수 있어요.때문에 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면 사주팔자에 따라 어떤 사람의 성격, 기질, 기운에 따른 역학관계 등을 해석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이 기운이라는 것의 기초로 음양과 오행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양한 관계를 해석해 내죠. 결국 명리라는 것은 점이나 부적같은 귀신의 영향이라기보다는 한 사람이 타고난 기질과 이 사람이 살아가면서 만나고 헤어지는 기운들의 관계를 따져보며 어떤 기운이 흐르..

라이프 2025.04.08

지구는 둥글다? 지구는 자전과 공전이 만든 회전 타원체

지구는 왜 동그랗지 않을까? 지구는 완벽한 구도, 완벽한 원도 아닙니다. 자전과 공전이 만들어낸 지구의 ‘살짝 찌그러진’ 진짜 모습을 논리적으로 정리해 봅니다.  지구는 둥글다?   “지구는 둥글다” – 그 말, 반만 맞다!우리가 어릴 때부터 배운 건 “지구는 둥글다”라는 말이에요.공처럼 생긴 지구를 떠올리며 우주에 떠 있는 모습을 상상하죠. 그런데 조금만 생각해 보면 이 말이 맞나?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요즘은 우주에서 촬영된 지구의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확인도 가능하지만요, 사실 지구는 우리가 알고 있던 완벽한 공 모양이 아니거든요. 심지어 태양 주위를 도는 궤도도 완벽한 원이 아니에요.   지구는 왜 구가 아니고 ‘타원체'에 가까울까?지구를 옆에서 보면 완벽한 원이 아니라 살짝 납작한..

라이프 2025.04.02

씽크홀과 지반 침하는 왜 생기는 걸까? 원인을 다 알 수가 있을까?

씽크홀(Sinkhole)이 무엇인지, 그 발생 원리와 요인을 자연적·인위적 측면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씽크홀과 지반 침하는 왜 생기는 걸까? 씽크홀(Sinkhole)은 지표면에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크고 깊은 함몰 지형을 말합니다. 표면에서 볼 때는 단순히 땅이 꺼진 것처럼 보이지만, 그 내부에는 다양한 지질학적 메커니즘이 작용하여 형성됩니다. 주로 물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데,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인위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씽크홀은 주로 석회암 지대와 같은 용해성 암석이 물에 의해 서서히 녹아내리면서 발생합니다. 반면,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씽크홀은 인공적인 지반 약화나 도시화로 인한 지반 구조 변화 등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씽..

라이프 2025.03.27

유튜브 알고리즘과 전통 미디어 존재 이유, 미디어 소비 방식의 변화 #1

요즘 종편이나 케이블은 물론 공중파를 보다 보면 드는 생각은 이 콘텐츠의 타깃 시청자 연령층은 40대 이상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젊은 방송인보다는 이미 중장년 방송인들의 출연이 대부분이다. 특히, 이미 오래전에 했던 소재들을 재구성해서 콘텐츠를 만든 것 아닌가 란 생각도 하게 된다. 때문에 신선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시청해야 할 이유도 찾을 수 없다. 전파, 전기 낭비가 아닐까 싶다.  유튜브 알고리즘과 전통 미디어 존재 이유이미 오래전부터 쌍방향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일방적으로 방송을 송출하여 시청하는게 아니라 시청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직접 선별하고 방송 중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원하는 화면이나 음성이나 사물을 찾아볼 수 있는, 또 방송 출연자와 직접 소통하는 등, 이런..

라이프 2025.02.20

뉴질랜드 남섬 여행: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로 빠르게 인천공항 출국하는 방법 #6

이제 모든 뉴질랜드 남섬 여행 준비는 끝났으니, 여행을 시작해 볼게요.  도심공항터미널로 빠르게 출국하는 방법출발일 당시 인천공항 보안검색 및 출국 심사 과정이 매우 더뎌서 탑승시각 3시간 전에 공항에 도착해도 시간이 부족한 형편이라는 소식이 많았어요. 물론 본 글을 작성하는 현재는 매우 원활하게 수속이 이루어지다고 하지만 말이에요.때문에 저희는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체크인을 하고 출발하기로 했어요.인천공항과 연결되어 체크인 및 수하물 수속이 가능한 도심공항터미널은 모두 3군데가 있습니다.섬성역 도심공항터미널:삼성동 코엑스에 위치. 현재는 코로나19로 모든 항공사 탑승 수속은 불가.가능한 항공사: 대한항공, 아시아나 등. (거의 다 되는 것 같은데...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고이용시간: 5:..

라이프 2025.02.10

뉴질랜드 남섬 여행: 뉴질랜드 여행 허가서 (NZeTA) 신청하기 #5

오늘은 뉴질랜드 여행을 위해 한국인이라면 필수로 신청해야 하는 뉴질랜드 전자여행허가서(NZeTA) 신청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뉴질랜드 전자여행허가서 (NZeTA) 신청하기여행 출발 1주일 전.일정에 맞춰 필요한 예약도 다 끝내고 출발 일정만 기다리고 있던 중에 '카톡'하고 문자가 오더라고요, 대한항공. 광고인가! 하면서 '바로가기'를 눌러봤어요. 근데, 다음 페이지를 보니 뭔가 싸한 기분이 들더군요. '국가별 입국 조건'이라...대략 2010년 정도였을까요, 이직을 하면서 혼자 뉴질랜드 여행을 한 적이 있었죠. 그때도 역시 우리나라는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국가였어요. 그냥 비행기 표만 있으면 다른 신고 없이 여행이 가능한 나라가 뉴질랜드였죠.   뭔가 이상하네... 하면서 '국가별 입국 조건..

라이프 2025.01.22

절기란 무엇일까? 음력과 태양력이 만나는 24절기와 황도 #62

오늘은 절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만세력을 보면 오늘이 대설이라고 하는 24 절기 중 21번째 날이라고 합니다. 절기란 무엇이고, 어떤 이유로 24 절기가 구분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음력과 태양력이 만나는 24절기와 황도음력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시간 체계입니다. 구체적으로, 달이 지구를 한 바퀴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 즉 한 삭망월은 약 29.5일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음력의 한 달은 29일 또는 30일로 이루어지며, 음력의 한 해는 약 354일입니다. 하지만 이는 태양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계절과 약 11일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계절과 어긋나게 됩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음력에는 윤달이라는 조정 체계가 도입되었습니다. 약 2~3년에 한 번씩 13번째 달을 추가하여 계절의 변화를 ..

라이프 2025.01.20
반응형